貿易通商情報

대한 반도체 재료 수출, 1건 허가.. 정부, 관리대상의 확대 검토

登録日:19-08-08 08:00  照会:5,032
대한 반도체 재료 수출, 1건 허가.. 정부, 관리대상의 확대 검토

정부가 한국에 대해 수출관리를 엄격히 한 품목 ‘불화수소 ’ 등 반도체 재료 3품목에 관해, 일본 국내 회사로부터 허가 신청이 있었던 수출 1건을 허가한 것이 7일 알려졌다. 또한, 정부가 수출관리강화의 일환으로써 군사전용이 용이한 제품이나 기술의 수출을 제한하는 리스트 규제의 대상품목의 확대를 검토하고 있는 것도 알려졌다. 다수의 정부관계자가 밝혔다.

정부는 7월 4일 이후, 반도체재료의 3품목에 관해 한국으로의 수출 절차를 엄격화하고 있다. 엄격화 후에 수출의 허가신청이 있었던 한국기업으로의 계약 1건에 관해 정부는 8월 7일 날짜로 허가했다. 품목은 반도체의 기판을 닦는 감광제인 ‘레지스트’라고 한다.

‘조사 결과, 군사전용 등의 우려가 없다면 수출은 허가한다’고 하는 방침을 정부는 표하고 있어, 앞으로 수출을 허가함으로써 한국이 주장하는 ‘수출 금지 조치’에는 해당하지 않는 것을 밝힌 모양이다.

정부는 앞으로도 조사를 통과한 거래에서는 수출허가를 내는 한 편, 한국에 관한 수출관리에 관해서는 새롭게 부적절한 사안이 판명된 경우에 개별허가 신청의 대상품목을 3품목 이외로도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한편, 정부가 확대를 검토 중인 리스트 규제의 대상품목은 수출관리를 둘러싼 국제합의에 기초한 정성령에서 지정되고 있어, 해당품목을 수출하는 경우에는 사전에 경제산업성의 허가가 필요하게 된다.

리스트 규제의 품목은 화학무기와 생물무기의 원료, 첨단재료나 센서, 레이더, 통신기기 등 약 240항목으로 한국으로의 수출관리를 엄격화한 ‘불화수소’ 등의 반도체 재료 3품목도 포함된다.

다만, 일반적인 제품이나 기술 중에서도, 가공하면 군사전용이 용이한 것이 적지 않기 때문에 현재는 미규제의 제품이나 기술에도 규제의 망을 넓히는 방침이다. 미국 등도 문제의식을 공유하고 있어 정부는 미국이나 유럽을 시작으로 주요관계국과도 협조하며 안전보장의 관점에서 리스트규제의 품목확대의 검토를 진행한다.

출처 : https://www.sankei.com/politics/news/190808/plt1908080005-n1.html


 


TOTAL 3,869 

NO 件名 日付 照会
1489 패션쇼 연출을 바꾸는 프로젝션 맵핑 2018-12-20 5056
1488 일본경제 주간동향(3.10-16) 2018-03-27 5055
1487 7월 소비자물가 3. % 상승, 14개월 연속 플러스 2014-09-03 5055
1486 일본경제 주간동향(12.20-12.26) <주일대한민국대사관 제공> 2015-01-06 5055
1485 한국의 ‘반도체 재료 국산화’를 얕볼 수 없는 이유 2019-08-08 5054
1484 일본정부, 기업비밀 누설 벌칙 강화 2014-02-24 5054
1483 日, 동남아 산업 기계 시장 주시 중 2016-06-01 5053
1482 히타치, GE와 공동으로 소형 원전 해외 수출 시야 2018-10-16 5053
1481 도쿄 올림픽 호텔 객실 9도시에서 공급초과 2019-06-11 5053
1480 일본경제 주간동향(6.17-6.23) 2019-06-26 5050
1479 온 워드 가시야마, 피부가 촉촉해지는 “입는 화장품” 발매 2018-10-10 5049
1478 맥주 거품의 색을 수치화하는 신기술을 밝혀내다 “신선도와 색의 관계” 2018-09-13 5046
1477 日 발한 억제제 관련 상품 호조 2016-07-11 5046
1476 日기업은 과거 최고 이익, GDP는 감소 2015-08-19 5045
1475 이공계의 채용 미달 심각에, 비제조업도 AI/IT 인재 쟁탈, 대졸채용, 내년 봄 7.9% 증가 2019-03-26 5045
1474 친일 서남아시아 국가들, 은행 데뷔에 열띤 관심 2019-06-24 5045
1473 대중교통 방일객 대응, 20년도에 완료... 2019-08-13 5044
1472 日 구마모토 지진으로 인한 농림 관련 피해액 236억 엔 2016-04-28 5044
1471 KDDI, 5G 및 IoT 개발 거점 건설 2018-09-06 5043
1470 신생아의 지문인증에 성공한 NEC기술의 가치 2019-06-25 5043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