貿易通商情報

일본경제 주간동향 (1.7-13)

登録日:17-02-03 08:00  照会:8,485
1

1. 경제일반

□ (아베총리 시정방침 연설: 경제분야) 1.20 소집된 제193회 일본 정기국회에서(회기 6.18까지), 아베 총리는 경제분야와 관련하여 TPP 유지, 2020년 4천만명 방일 관광 목표, 농정개혁, 원전피해지 복구, 일하는 방식개혁, 여성활약 등에 대한 시정방침을 연설함.

□ (일본 중의원 본회의 아베총리 답변) 아베총리는 1.23 당대표 질문시, 미국의 TPP 이탈공식화, 일미정상회담 등 미 신정권과의 관계, 재정건전화, 장시간 근무관행 규제, 사회보장, 방재·감재 등에 대한 질의에 대해 답변함.

□ (일본의 재정건전성 관련 논의 동향) 일본정부 경제재정자문회의는 1.25‘일본정부의 중장기 경제재정에 관한 추산’을 발표, 2020년도 기초재정수지가 8.3조엔 적자(2016.7월 발표치 대비 적자 2.8조엔 확대)를 기록할 것이라는 전망을 제시함. ※ 상기 추산은 높은 경제성장(실질 2%·명목 3% 성장, 소비자물가지수 약 2%) 및 소비세율 추가인상(2019.10월 8→10%)을 전제로 산출

2. 경기동향 및 주요 경제지표

□ (2016년 일본의 무역수지) 일 재무성이 1.25 발표한 2016년 무역통계에 따르면 일본의 2016년 무역수지가 4조 741억엔 흑자를 기록한바, 동일본대지진 발생 직전인 2010년 이후 6년만에 무역수지 흑자 전환을 달성함.

ㅇ 무역수지 흑자의 가장 큰 요인은 저유가와 엔화강세이며, 이로 인해 수입금액이 65조 9,651억엔으로 전년대비 15.9% 감소한 반면, 수출금액은 2015년에 비해 7.4% 감소한 70조 392억엔을 기록함.

□ (2016년 일본의 소비자물가) 일본의 2016년 전국소비자물가지수 평균이 전년대비 0.3% 하락하였는바, 2012년 이후 4년 만에 전년대비 하락한 것으로 이에는 저유가와 엔화강세, 소비부진이 크게 작용함.

ㅇ (엔/달러 환율) 영국의 EU 단일시장 완전 탈퇴 발표 이후 안전자산으로 여겨지는 엔에 대한 수요가 커지면서 112엔대의 엔화강세를 보였으며, 트럼프 미 대통령의 달러강세 비판, 취임 연설문에서 구체적인 미국의 경제정책 미제시 등을 이유로 엔화가 강세를 보이기도 했으나,

- 트럼프 대통령이 원유 파이프라인 건설계획 추진 문서에 서명하면서 향후 인프라 투자가 착실히 진행될 것이라는 기대감에 미국의 장기금리가 상승, 미일간 금리차를 의식한 달러매입/엔매도 움직임이 확산되어 엔화약세

ㅇ (닛케이평균주가) 트럼프 대통령 취임전 미국의 인프라 투자 확대에 따른 경기개선에 대한 기대감에 완만한 상승세를 보이다가, 취임연설문 등에서 미국 제일주의를 내세우고, 보호주의적 움직임을 강화함에 따라 19,000엔을 밑돌다가 엔화약세/달러강세, 미국 다우지수 2만달러 돌파 등에 힘입어 상승세

3. 기타

□ (아베총리 동남아·호주 순방 결과) 아베총리는 1.12-17간 동남아 3개국 및 호주를 순방한 바, 아베총리는 1.16 기자회견에서, 금번 순방을 통해 “지역의 평화와 번영을 위해서는 미국의 관여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인식 하에 지속적으로 긴밀히 연계해 나가기로 일치했다”고 설명함. * 순방 일정: 필리핀(1.12-13), 호주(1.13-15), 인도네시아(1.15-16), 베트남(1.16-17)

□ (영국의 Hard Brexit 관련 일본 언론 반응) 메이 영국 총리가 1.17 Hard Brexit 방침을 확인한 것과 관련, 일본 주요언론은 Hard Brexit가 기업에 미치는 영향 억제(日經) 및 일본기업 전략수정 필요(요미우리), 영국의 EU 탈퇴는 세계경제의 혼란을 가중시키는(산케이), 자국 우선주의로 제동이 필요(아사히)하며, 이에 따라 대립의 연쇄를 초래하지 않도록 주의 필요(마이니치) 등 대체로 우려 섞인 부정적인 반응임.

□ (일-EU EPA 동향) 1.17-20간 벨기에 브뤼셀에서 개최된 일-EU EPA 수석교섭관 회의는 1.20 자동차 및 농산품의 관세 관련 협의의 난항으로 인해 양측의 입장차가 해소되지 않은 채 종료됨.

□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일본 각계 반응: 경제분야) 트럼프 대통령의 보호주의 추진 관련, 일본정부는 “TPP가 미국의 이익이 된다”고 지속 호소할 방침으로, 제계는 TPP 탈퇴, NAFTA 재협상 등 보호주의적 정책은 이 세계경제에 대한 부정적 영향에 우려 표명한데 대해 전문가들은 과도한 우려는 보다는 냉정하게 미국을 설득해나갈 필요를 언급함.

ㅇ 한편 환율정책 관련, 일본은행은 현 시점에서는 트럼프 정권의 구체적 경제대책이 확실하지 않으나, 트럼프 대통령의 감세정책이나 인프라 투자 계획이 미국 및 세계경제에 플러스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고, 미국의 경제성장에 대한 기대감으로 진행될 엔화약세/달러강세를 환영함.

□ (미국 TPP 이탈 관련 일본 동향) 트럼프 미 대통령의 TPP 이탈 서명(1.23)과 관련, 일본정부는 2017.2월 상순으로 조정중인 일미 정상회담에서 통상정책 등에 대해 논의할 방침으로, 동 회담에서 TPP에 대한 미국의 방침 전환을 촉구할 것으로 예상됨.

□ (미일 자동차 무역 관련) 일본정부는 트럼프 미 대통령의 관심이 큰 자동차 분야 양자협의에 참여하고, 무역협정에 대해서는 TPP를 중심으로 하여 미국의 이해를 얻겠다는 구상 아래, 자동차 분야 협의와 양자 FTA를 분리하여 대응할 방침임.

ㅇ 트럼프 대통령의 일본과의 자동차 무역 비판에 대해 세코 경제산업대신은 1.24(화) 기자회견에서 “일본에서는 미국차에 관세가 전혀 부과되지 않는다. 관세 이외 부분에서도 차별적 취급은 하고 있지 있다”고 강조


 


TOTAL 3,869 

NO 件名 日付 照会
569 2012년 상반기 일본 주요 전시회 정보 2011-08-09 8418
568 샤프, 재팬디스플레이에 유기EL 공동개발 제안 2016-09-05 8431
567 ‘셀프 메디케이션 세제’ 1월부터 일반 의약품도 세금 공제 대상 2017-01-03 8432
566 소지쯔, 캄보디아 배합사료 사업 참여 2011-12-07 8434
565 마루에츠, 중국에 슈퍼마켓 100점포 개점 계획 2012-08-23 8435
564 일본의 8월 조강 생산, 6개월 만에 증가 2011-09-21 8443
563 일본의 주류시장 동향 보고서 2011-08-01 8451
562 일본의 전력부족 대응상품 판매 동향 2011-05-17 8458
561 중국의 고령자 대상 서비스시장을 공략하는 일본기업 2012-02-27 8472
560 일본경제 주간동향 (1.7-13) 2017-02-03 8486
559 파나소닉社. 인도의 현지생활 반영한 냉장고 출시 2018-02-09 8487
558 특수용접재료 제조판매 및 특수용접 시공업체 나이스, 한국법인 설립 2011-11-14 8503
557 소니 등 대기업 가정용 축전지사업에 속속 참여 2011-09-07 8536
556 더울수록 득이 되는 '기온할인' 속속 등장 2011-08-10 8563
555 일본경제 주간동향(3.1-3.7) <주일대한민국대사관 제공> 2014-03-13 8577
554 JX닛코닛세키에너지, 7월 서울에 현지법인 설립 2012-06-14 8584
553 파이오니아풍력기, 업무용 에어 흡착매트 중국 생산 예정 2011-09-21 8591
552 JX일광일석에너지, 한중일 3국 윤활유 생산체제 재편 2011-12-08 8601
551 일본 7월 수출액 19.2 % 감소, 대미 자동차 연속 감소, 대중국 7개월만에 증가 2020-08-19 8622
550 日 소매업계에서도 AI 활용을 통해 인력부족 해소와 업무효율 향상 2017-04-06 8631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