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미나

앞으로 다가올 수소경제의 미래 - 주요국 정책 동향과 시사점을 중심으로 -

작성일:20-10-15 08:00  조회:1,234

강사 정보 2125
개최일 정보 2020-10-15 08:00
요 약 I. 연구 목적 및 배경 II. 수소 에너지 시장 동향 Ⅲ. 주요국의 수소경제 정책 동향 Ⅳ. 수소경제로의 이동 가속화 Ⅴ. 시사점

수소경제는 2050년 연간 2조 5000억 달러(한화 3000조 원) 규모의 수소 및 관련 장비 시장과 3000만개 이상의 누적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전망되며 독일·일본·중국 등 세계 주요국들도 미래 유망산업으로 수소경제 활성화에 나서고 있다. 글로벌 그린수소 생산단가 하락, 주요국 정부의 수소경제 투자 확대, 상용차의 수소 모빌리티 선도, 발전 및 건물용 연료전지 시장 확대 등으로 인해 수소경제로의 전환이 가속화됨에 따라, 글로벌 시장 선점을 위한 국가 간 경쟁이 매우 치열하다. 한국은 모빌리티와 발전용 연료전지 등 수소 활용 측면에서는 세계 최고의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지만 수소 생산 및 공급 인프라는 상대적으로 뒤쳐져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가 조기에 대외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그린수소 관련 원천기술 개발과 인프라 구축에 집중 투자해 그린수소 생산량 증대와 생산단가 절감에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상세내용은 아래의 URL을 참고해 주세요.
https://www.kita.net/cmmrcInfo/internationalTradeStudies/researchReport/focusBriefDetail.do?pageIndex=1&no=2125&sClassification=3

 


TOTAL 85 

NO 제목 날짜 조회
5 [KITA연구보고서] 미국의 대중국 무역제재(관세부과) 이후 미국 내 수입시장 점유율 변화와 시사점 2020-10-21 762
4 [KITA연구보고서] 앞으로 다가올 수소경제의 미래 - 주요국 정책 동향과 시사점을 중심으로 - 2020-10-15 1235
3 [KITA연구보고서] 수출기업의 코로나-19 영향 및 수출회복 전망 2020-10-14 1739
2 [KITA연구보고서] 해운 서비스 수출 부진 현황과 시사점 2020-09-23 942
1 [KITA연구보고서] 한국 서비스 수출의 국제적 위상과 경제 기여 효과 2020-09-22 805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