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통상정보

LINE PAY, 은행 간 송금 서비스 개시

작성일:19-12-10 08:00  조회:3,918

LINE PAY, 은행 간 송금 서비스 개시

 난립하는 국내 스마트폰 결제로 대기업이 앱 기능 강화를 서두른다. LINE은 9일 은행계좌 이체 서비스를 시작했다. 인터넷뱅킹 시스템을 사용해 수수료를 대형 은행들 간 송금보다 약 20% 낮추었다. 소프트뱅크나 NTT도코모도 다른 업종에 대한 서비스 도입을 서두른다. 스마트폰 결제는 자금의 환원이라는 소모전에서, 다양한 서비스로 소비자를 획득하는 단계로 이행하고 있다. 

 LINE은 9일 스마트폰 결제수단 "LINE PAY"에서 개인과 기업의 은행 계좌 송금 서비스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원래 LINE PAY 이용자끼리의 무료 송금은 가능했다. LINE에 의하면, 앱에서 타인의 은행계좌로 이체할 수 있는 서비스는 이 업계에서는 처음이라고 한다. 수수료는 1회에 176엔으로, 대형 은행(최저약 220엔)보다 저렴하다. 

 재팬넷은행의 즉시 입금 서비스를 통해 송금한다. 해당 은행의 수수료는 입금액 3만엔 미만까지 176엔으로, LINE도 같은 금액으로 막은 형태이다. “그다지큰이익을 내다보지 않아, 이용하기 쉬운 금액으로 설정했다"라고 설명했다. 이체 한도는 하루 10만엔까지. 

 새로움은 수수료만이 아니다. 계좌번호를 모르는 상대방에게도 LINE앱을 통해 이체가 가능하다. 전화번호나 메일 주소를 입력하고 금액을 지정하면 상대방에게 메일 등으로 입금 통지가 온다. 상대방이 입금 내용을 확인하고 계좌번호를 입력하면 입금된다. 

 일본은행의 조사에 따르면 현금 이외의 결제로 따지면 인터넷뱅킹 이체 이용은 전체의 14%에 그친다. LINE의 새로운 서비스로 젊은층의 인터넷 이용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 

 LINE의 신서비스 배경에는 스마트폰 결제의 환원 경쟁의 치열함이다. LINE의 월간 이용자 수는 약 8200만명. 이중 LINE PAY 등록자 수는 45%로, 성장하는 있는 듯이 보인다. 

 하지만 6월 말 490만명이던 LINE PAY의 월간 이용자 수는 9월 말에 286만명으로 줄었다. 4~6월은 마케팅 비용으로 약 100억엔을 투자하고 대규모 자금 환원 정책을 펼쳤으나 종료 후에는 소비자가 떠났다. 

 LINE의 데자와 츠요시 사장은 "18년 이후, 스마트폰 결제 사업자에 의한 포인트 환원 정책을 벌였다"고 말한다. 수익을 압박하는 환원책을 대신해 신서비스 창출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재팬넷은행은 야후 등을 거느린 Z홀딩스(HD) 산하이다. ZHD와 LINE는 11월에 경영 통합 방침을 발표했다.

 ZHD 산하에 소프트뱅크나 야후가 출자해, 스마트폰 결제를 다루는 PayPay는 은행 입금 서비스에 대해 "향후 도입할지는 현시점에서는 모른다"고 답했다. 다만, 장래에는 LINE과 노하우를 공유하는 등, 제휴를 깊게 할 가능성도 있을 것 같다. 

(중략)

 한편, 일본의 캐시리스(Cash-less) 결제 보급은 늦는 편이다. 경제산업성이 18년에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일본은 15년 시점으로 캐시리스 결제비율은 18%. 한국(89%), 중국(60%)과 비교해서 늦어지고 있다. 정보유출에 대한 우려 등이 보급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 결제나 검색 서비스, SNS를망라하는 슈퍼앱의 보급도 시간이 걸릴 가능성이 있다.

원문 출처 :https://www.nikkei.com/nkd/industry/article/?DisplayType=1n_m_code=142ng=DGKKZO53144290Z01C19A2TJ2000


 


TOTAL 3,869 

NO 제목 날짜 조회
609 일본 경기회복으로 취업환경 개선 2014-08-11 3907
608 日샤프 TV사업 부진, 20% 감산 2015-02-02 3902
607 5월 소비자 물가지수 3.4%, 32년만에 최고수준 2014-07-03 3901
606 일본 밥솥, 인도에서 인기 2018-11-06 3900
605 NEC, 생체 인식 기술 브랜드 출범! 안전 사업 가속화 2018-04-19 3899
604 무역적자 커지는 일본, 국채신용에 더욱 위기 2014-02-17 3897
603 LINE, 이용자에게 대체 화폐 지급 2018-10-01 3895
602 재해, 기후 변화에서 요구되는 식량 안보 2018-11-09 3895
601 한중일 사이버 분야 연계, 베이징에서 21일 최초 회동 2014-10-20 3894
600 일본, 민간소비 확대 지속 2014-01-30 3894
599 日銀, 대규모 금융완화 지속 2015-03-18 3894
598 태양광사업 추진 미비기업, 670건 인증취소 2014-02-17 3887
597 "고디바" 일본 사업 매각, 미쓰비시 상사 등 인수 대열에 합류 2018-11-28 3887
596 타자기 제조회사의 도산, 일본의 제조업이 걸어온 궤적과 겹친다 2019-05-28 3885
595 "휴면 예금"의 활용, 다음 달부터 본격 시동 2018-12-07 3885
594 일본경제 주간동향(7.26-8.1) <주일대한민국대사관 제공> 2014-08-04 3884
593 인구 감소도 관계없음! 확대되는 초콜릿 소비, 판매 호조의 이유는? 2018-10-19 3882
592 한국산부품 사용 닛산차, 사용비율 인하계획 2014-01-24 3881
591 일본자동차, 2014년도 중국시장 16% 증가한 400만대 판매 계획 2014-03-04 3881
590 일본 정부, 10월부터 중장기 재류자격자 입국 재개 2020-09-28 388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