貿易通商情報

일본 중국의 ASEAN 크로스보더 M&A 경쟁, 한국의 전략은?

   Trade_Brief_No36호_최종.pdf (502.3K) [93] DATE : 2015-08-30 19:33:06
登録日:15-07-28 00:00  照会:11,236
[국제무역연구원 연구자료]

< 주요내용>

ASEAN 크로스보더 M&A 시장에서 한국은 경쟁국인 일본, 중국에
    비해 크게 밀리고 있어 향후 현지시장에서의 주도권 약화가 우려되고 있다.
    2010.1.~2015. 5.까지 기간 중 일본과 중국의 대 ASEAN M&A 점유율이
    인수금액 기준으로 각각 13.0%(1위)와 8.1%(5위)를 기록한 반면, 한국의
    점유율은 2.4%(12위)에 불과한 실정이다. 


ㅇ ASEAN의 M&A 시장이 확대되는 가운데 일본과 중국은 합계 점유율이
     2013년과 2014년 각각 33.2%(일본 28.5%, 중국 4.7%)와 34.5%(일본 9.9%
    중국 24.6%)로 ASEAN 크로스보더 M&A를 주도했다. 동 기간 중 일본은
    전체 M&A의 50% 이상을 금융업종에서 단행했는데, 이는 내수시장 성숙
    및 저금리로 인한 금융기관의 수익성 저하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반면 중국은 자국 내수시장의 성장여력이 충분해 소비업종
    보다 인프라 투자 및 제조업 점유율 확대에 중점을 두어 M&A를 추진했다.


ㅇ 앞으로 일본은 엔저에 따른 기업의 호실적을 무기로, 중국은 정부의
    ‘일대일로(一帶一路)’정책과 해외투자 심사절차 완화 등에 힘입어
    ASEAN M&A 시장 공략을 가속화할 전망이다. 반면 한국은 양국 사이에
    낀 넛크래커 현상을 보이고 있어 유통 및 금융업종과 국제적 경쟁력을 
    갖고 있는 IT 업종을 타겟으로 M&A를 확대할 필요성이 있다.

붙임: 보고서 1부.

출처 : http://iit.kita.net


 


TOTAL 3,869 

NO 件名 日付 照会
189 2019년 일본의 對韓 수출이 대폭 감소한 요인 분석 2020-04-27 11185
188 주간 무역리뷰(071008) 2007-10-12 11187
187 새로운 일상, 출발의 날 긴급사태선언 해제 일본 수상 회견 요지 2020-05-15 11192
186 權부총리 한일FTA 진전 적극모색 2007-04-26 11203
185 세계경제전망(11/10) 2008-11-12 11204
184 낙농업도 AI로 ‘일하는 방식 개혁’ 드론이나 로봇으로 부담경감 2019-03-28 11211
183 중국시장에서 고전하는 일본브랜드 2005-06-23 11217
182 기로에 선 한류붐(한국영화 중심으로) 2007-02-09 11217
181 1~3월기 설비투자 4.3% 증가 법인기업 통계, 매출액-경상이익 감소 2020-06-01 11222
180 일본경제 2007년도 및 중장기 전망(2020년까지) 2006-12-13 11230
179 일본 중국의 ASEAN 크로스보더 M&A 경쟁, 한국의 전략은? 2015-07-28 11237
178 동영상 "터치" 신기술이 개척하는 시장 2018-12-11 11248
177 일본 경기회복 전망, 업종별 온도차 2014-07-03 11250
176 주간 무역리뷰(080616) 2008-06-16 11255
175 도요타도 인정한 미즈노의 카본 2018-05-18 11256
174 최근 일본의 M&A시장 동향 및 시사점 2007-09-18 11273
173 일본무역회, 2004년도 일본 무역 수정 전망 2004-06-11 11274
172 한국 무역 및 경제에 관한 그래프 50개 2008-11-21 11276
171 이토추상사, 중국 섬유.기성복 대기업 산동여의과기집단에 출자 2011-09-01 11278
170 일본 100년 장수기업의 생존법칙 2005-06-23 112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