貿易通商情報

브리지스톤, 타이어용 고강도 소재 개발

登録日:18-06-06 08:00  照会:4,792
[브리지스톤, 타이어용고강도소재 개발]

-일반 고무와 수지를 이용한 고강도 합성소재-

브리지스톤은 일반 고무와 수지를 이용한 타이어용 합성소재를 개발했다. 이러한 성분을 분자 수준에서 결합시키는 독특한 촉매 기술을 활용했다. 타이어의 원재료인 천연 고무는 날씨 등으로 생산량이 좌우되기 쉽다. 안정적으로 조달할 수 있는 소재의 개발은 오랫동안 경영의 주요 목표였다. 남은 것은 생산비용 문제 등의 해소 및 2020년대까지의 실용화다.

 신소재인 ‘고강도 고무(HSR)’는 독자적인 중합 촉매 기술인 ‘개량형 Gd촉매’를 이용하여 일반적인 고무 성분의 이소프렌과 수지 성분의 에틸렌을 메인으로 분자 수준에서 결합시켜 만들었다.

 타이어용 고무는 재료의 약 60%가 천연 고무이다. 천연 고무는 합성 고무에 비해 내구성이 높지만, 생산량 등 날씨 등의 영향을 받기 쉽다. 회사는 천연 고무를 대체하는 신소재의 연구 개발을 진행해왔다. 포인트는 어떻게 천연 고무와 같은 수준의 강도를 확보할 것인가이다.

 이 과제를 해결하는 첫걸음이 2016년에 개발한 독자적인 Gd(가돌리늄)촉매이다. Gd촉매를 사용해 이소프렌 분자 구조를 고도로 제어할 수 있지만, 섭씨 0도 이하에서밖에 사용할 수 없는 등 장애물이 있었다. 이에 대해 회사는 촉매의 구조를 연구했다. 공업용으로 섭씨 40도 이상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이번에 Gd촉매를 사용하여 이소프렌과 에틸렌이라는 서로 다른 성분을 하나의 화합물로 묶는데 성공하여, 고무와 같은 탄력과 수지의 강인함도 겸비한 HSR 개발에 도달했다.

 이 HSR은 천연 고무를 웃도는 내구성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천연 고무와의 비교 시험에서 HSR은 인장 강도가 천연 고무에 비해 1.5배 이상, 내마모성은 2.5배 이상, 균열내구성은 5배 이상 등의 결과가 나왔다.

 천연 고무의 대체라는 장점뿐만 아니라 더 얇고 가벼운 타이어의 실현으로 이어져 자동차 연비 향상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출처 : https://newswitch.jp/p/13199


 


TOTAL 3,869 

NO 件名 日付 照会
1389 주택 소음 방지? 다이와 하우스 방음 바닥의 비밀 2018-05-17 4835
1388 日 도요타, 3년연속 新차 수량 계획 천만대 돌파 2015-12-16 4835
1387 환율은 경제를 반영하여 안정화되는 것이 바람직, 일본은행 총재 2014-12-01 4834
1386 日도요타 자동운전 2020년 상품화 2015-10-07 4833
1385 일본경제 주간동향(2.7-2.13) <주일대한민국대사관 제공> 2015-02-16 4832
1384 일본경제 주간동향(7.13-7.19) <주일대한민국대사관 제공> 2013-07-24 4831
1383 일본 자민당 세제조사회 태양광 감세 종료 방침!! 2015-11-30 4831
1382 日세이코엡손, 세계初 실내종이재생기 개발 2015-12-02 4831
1381 日 자동차국내생산 15개월 연속 마이너스 2015-11-02 4828
1380 日정부, 정부계 기관을 통해 직접 스타트업 지원키로 2020-08-07 4821
1379 무인 운전으로 농사를 스마트하게! 2018-09-14 4820
1378 파나소닉 社. 미국 아마존社의 AI 기술 이용한 시스템 개발 2018-01-11 4819
1377 日도시바, 경영재건 위해 최대 7,000명 구조조정 2015-12-15 4819
1376 일본경제 주간동향(2.2-2.8) <주일대한민국대사관 제공> 2013-02-15 4816
1375 日 혹서(酷暑)로 음료시장 확대 2015-08-14 4814
1374 베이비 붐 세대 근무 지속, 인구감소의 영향 완화 2013-01-21 4814
1373 한국의 ‘반도체 재료 국산화’를 얕볼 수 없는 이유 2019-08-08 4813
1372 日농업인구 209만명, 5년전 대비 51만명 감소 2015-11-30 4811
1371 일본경제 주간동향(2.16-2.22) <주일대한민국대사관 제공> 2013-02-26 4807
1370 일본경제 주간동향(1.16-1.22) 2016-04-04 4803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