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本酒研究会

[니혼슈 칼럼 18회] 소주韓잔 사케日잔 - 18 미무로스기 (みむろ杉、みむろすぎ)

登録日:23-02-21 10:04  照会:1,701

소주韓잔 사케日잔 ‐ 18

미무로스기  (みむろ杉, みむろすぎ)

 - 나라현 사쿠라이시 (奈良県 桜井市)
 - 술의 발상지인 나라현 미와야마(三輪山)의 술
 - 스기타마(杉玉)를 전국으로 보내는 근원지
 

나라현(奈良県)의 미와(三輪)라는 곳은 나라(国)의 기원, 불교전래가 시작된 곳, 스모(相撲)의 발상지 등 일본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함에 있어서 상당히 중요하다.  
게다가 일본에서의 술 제조도 이곳이 발상지로 전해진다.

위치는 다들 한번씩은 가 봤을 법한 사슴으로 유명한 나라(奈良)의 토다이지(東大寺)의 바로 남쪽 30킬로 정도로 거기서 차로 약 40분 정도 걸리는 곳이다.

7474b2fa23209feeeef19287e0fffe32_1.jpg



아주 먼 옛날, 신의 계시로 나라(国)를 구하기 위해 술을 빚기 시작한 곳이 여기 미와(三輪)라고 전해져 내려오며, 지금도 오미와 신사(大神神社, おおみわじんじゃ) 에서는 술의 신(酒の神)을 모시고 있는데, 이른바 술의 성지이고, 고대엔 술이라 함은 지금의 니혼슈(=청주, 사케)뿐이었기에 니혼슈(日本酒)의 성지라고 말할 수도 있는 것이다.

개인적으로 일본이 스마트 사회로의 전환이 늦는 것은 언어 자체의 문제도 상당하다고 생각하는데, 이 신사(神社)의 이름도 왜 오미와 신사(大神神社, おおみわじんじゃ)라고 읽히는지 알 수 없다.

일본에서는 글자를 두고도 못 읽는 경우는 다반사이며, 명함 줄 때는 이 글자는 이러이러하게 쓰고, 저러저러하게 읽는다고 알려주는게 문화가 되어버릴 정도이니, 이른바 문맹율(文盲率)이 높다고도 할 수 있다.

이는 내 전공이 아니라 잠시 제쳐두고, 여기 큰 신이라는 뜻의 '大神'라는 한자를 오오카미, 다이진 등으로 읽을 수 있음에도 오미와(おおみわ)로 명명한 것은 이 곳 미와(三輪)의 땅을 신격존재로 인식함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여기 오미와 신사(大神神社)는 일본에서 최고 오래된 (最古) 신사로도 알려져 있는데, 일반적인 신사(神社)는 신으로 모시는 대상물인 신체(神体)를 기리는 본전(本殿)을 가지는데, 이 곳 오미와 신사(大神神社)는 그 본전(本殿)을 가지지 않고, 그 신사가 위치한 미와야마(三輪山)라는 산 자체를 신체(神体)로 모시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이맘때인 매년 11월 14일에는 오미와 신사(大神神社)에 전국의 술 양조장 당주(当主)와 술제조의 우두머리인 토지(杜氏)가 모여, 그 해의 술 양조가 잘 이루어지기를 비는 양조기원 제사(醸造祈願祭)를 지낸다.

경내에는 술 양조가(醸造家)와 관광객 및 참배객으로 붐비고, 이 제사가 끝나면 전국의 양조장에 스기타마(杉玉)를 보낸다.

미와야마(三輪山)에는 옛부터 스기(杉, 삼나무)가 많이 나왔고, 이 스기로 만든 동그란 조형물이 스기타마(杉玉)다.

참고로 스기타마(杉玉)는 술이 나오기 시작하는 2~3월에 신주(新酒)가 나올때 양조장의 처마밑에 매단다. 즉, 술이 출시되기 시작함을 알리는 것이다.

스기타마의 발상지도 공교롭게도 여기 미와(三輪)고, 미와(三輪), 신(神), 술은 너무나도 깊은 관계를 가지고 있다.

너무나 길었던 서론을 끝내고, 여기서 드디어 이 곳과 유서 깊은 니혼슈를 소개하고자 한다.

여기 나라현(奈良県)의 미와(三輪)에 1660년에 창업해 360여년이 지난 이마니시 주조(今西酒造)가 만드는 미무로스기(みむろ杉)다.

왠만한 니혼슈(日本酒) 관련 일본 유튜브에는 대부분 최고의 니혼슈로 항상 뽑히고, 상기의 그 상징성만으로도 인기가 없을 수가 없는 니혼슈다.

술의 발상지인 미와야마(三輪山)의 옛지명이 미무로야마(三諸山)였고, 미무로(実醪, みむろ)는 술의 근원이라는 의미도 있으며, 이 곳에서의 스기(杉, 삼나무)에 술의 신이 잠들어있다고 해서 명명된 브랜드 미무로스기(みむろ杉)!

현재는 젊은 14대 당주인 이마니시 마사유키(今西将之)가 양조장을 맡고 있으며, 발음은 두개 다 '미무로스기'로 같은데 'みむろ杉'와 '三諸杉'라는 표기로 두 개의 브랜드를 가지고 있으며, 전세계 및 일본국내의 각종 대회에서 상을 휩쓸고 있다.

그 중, 三諸杉(미무로스기)는 현지 지역 내 유통상품으로 부드러운 맛과 향기로운 진한 향이 특징인 니혼슈이다.

전국적으로 판매를 하는 みむろ杉(미무로스기)는 다소 억제된 듯한 화려한 향기와 신선함이 특징인 술이다.

그리고, みむろ杉(미무로스기) 중에서도 2012년부터 판매해온 한정판 '로망 시리즈'는 상쾌한 달콤함과 쥬시(JUICY)함이, 마치 라무네(ラムネ)나 청량 음료수를 생각나게 한다.

모두 세련되고 신선한 맛으로, 니혼슈 초보자나 아직 니혼슈에 익숙치 않은 사람도 저항감 없이 받아 들일 수 있어 인기를 끌고 있다.

필자가 마신 술은 로망시리즈에 정미비율 60%인 준마이긴죠(純米吟醸)였고, 쌀은 오마치(雄町)를 썼으며, 개인적인 맛에 대한 감상은 자극없는 부드러움이 가장 큰 느낌이었다.

각 지역마다 유루캬라(ゆるキャラ)라고 해서 각 지역의 특산물과 지역을 소개하는 마스코트를 제작해서 홍보를 한다. 이 나라지역의 유루캬라는 센토쿤(せんとくん)이라해서, 도저히 납득할 수 없는 캐릭터인데, 또 이게 의외로 인기가 높다. 나 역시도 자주 보다보니, 이제는 친근해질 정도인데, 일반적인 상식으로는 도저히 이해하기가 어렵다.

일본에서 가장 큰 불상이 토다이지(東大寺) 내부에 있는데, 이를 상징하고, 또 사슴으로 유명한 나라공원을 같이 어필하려다 이러한 디자인이 나온것으로 보인다.
 
일본의 니혼슈는 나라(奈良)에서 발상되어 쿄토(京都), 효고(兵庫)에서 번창해서 전국으로 퍼졌다고 한다.
나라에 갈 일이 있으면 꼭 니혼슈도 음미해볼 것을 추천한다.


*******************

본 홈페이지의 편집 제약상 사진 편집이나, 인용사진 표현이나 본문의 편집 방향을 제대로 살리지 못하게 되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일목요연하게 리스트화 되어 있는 사이트가 하기에 잘 정리되어 있으니, 참고 하시면 많은 도움이 되실겁니다. 

https://brunch.co.kr/@jemisama-sake



무단도용시 법적처벌을 받을수 있습니다.

コメント


 


TOTAL 73 

NO 件名 会社名 日付 照会
공지 [니혼슈 칼럼 프롤로그] 소주韓잔 사케日잔-프롤로그 관리자 2022-11-01 2487
73 [니혼슈 칼럼 53회] 소주韓잔 사케日잔 - 53 기쿄(義侠, ぎきょう) 니혼슈동호회 2023-09-24 153
72 [니혼슈 칼럼 52회] 소주韓잔 사케日잔 - 52 호라이(蓬莱, ほうらい) 니혼슈동호회 2023-09-18 328
71 [니혼슈 칼럼 51회] 소주韓잔 사케日잔 - 51 쿠도키죠즈(くどき上手, くどきじょうず) 니혼슈동호회 2023-09-13 454
70 [니혼슈 칼럼 50회] 소주韓잔 사케日잔 - 50 니와노 우구이스(庭のうぐいす, にわのうぐい… 니혼슈동호회 2023-09-06 709
69 [니혼슈 칼럼 49회] 소주韓잔 사케日잔 - 49 텐비 (天美, てんび) 니혼슈동호회 2023-08-31 765
68 [니혼슈 칼럼 48회] 소주韓잔 사케日잔 - 48 유키노보샤 (雪の茅舎, ゆきのぼうしゃ) 니혼슈동호회 2023-08-28 618
67 [니혼슈 칼럼 47회] 소주韓잔 사케日잔 - 47 남부비진 (南部美人, なんぶびじん) 니혼슈동호회 2023-08-25 831
66 [니혼슈 칼럼 46회] 소주韓잔 사케日잔 - 46 신슈키레이 (信州亀齢, しんしゅうきれい) 니혼슈동호회 2023-08-21 889
65 [니혼슈 칼럼 45회] 소주韓잔 사케日잔 - 45 아이유 (愛友, あいゆう) 니혼슈동호회 2023-08-17 1095
64 [니혼슈 칼럼 44회] 소주韓잔 사케日잔 - 44 카에이즈미 (亀泉, かめいずみ) 니혼슈동호회 2023-07-29 1703
63 [니혼슈 칼럼 43회] 소주韓잔 사케日잔 - 43 겟케이칸 (月桂冠, げっけいかん) 니혼슈동호회 2023-07-19 1633
62 [니혼슈 칼럼 42회] 소주韓잔 사케日잔 - 42 우고노츠키 (雨後の月, うごのつき) 니혼슈동호회 2023-07-14 1552
61 [니혼슈 칼럼 41회] 소주韓잔 사케日잔 - 41 아키시카 (秋鹿, あきしか) 니혼슈동호회 2023-07-07 931
60 [니혼슈 칼럼 40회] 소주韓잔 사케日잔 - 40 코에이기쿠 (光栄菊, こうえいぎく) 니혼슈동호회 2023-07-02 1293
59 [니혼슈 칼럼 39회] 소주韓잔 사케日잔 - 39 토요비진 (東洋美人, とうようびじん) 니혼슈동호회 2023-06-26 1846
58 [니혼슈 칼럼 38회] 소주韓잔 사케日잔 - 38 코쿠류 (黒龍, こくりゅう) 니혼슈동호회 2023-06-22 869
57 [니혼슈 칼럼 37회] 소주韓잔 사케日잔 - 37 호오비덴 (鳳凰美田, ほうおうびでん) 니혼슈동호회 2023-06-16 795
56 [니혼슈 칼럼 36회] 소주韓잔 사케日잔 - 36 후사노칸키쿠 (房乃寒菊, ふさのかんきく) 니혼슈동호회 2023-06-07 1859
55 [니혼슈 칼럼 35회] 소주韓잔 사케日잔 - 35 이치노쿠라 (一ノ蔵, いちのくら) 니혼슈동호회 2023-06-02 1000
54 [니혼슈 칼럼 34회] 소주韓잔 사케日잔 - 34 나가사키비진 (長崎美人,ながさきびじん) 니혼슈동호회 2023-05-29 1217
53 [니혼슈 칼럼 33회] 소주韓잔 사케日잔 - 33 무츠핫센 (陸奥八仙, むつはっせん) 니혼슈동호회 2023-05-24 1904
52 [니혼슈 칼럼 32회] 소주韓잔 사케日잔 - 32 타테노카와 (楯野川, たてのかわ) 니혼슈동호회 2023-05-22 612
51 [니혼슈 칼럼 31회] 소주韓잔 사케日잔 - 31 샤라쿠 (冩楽, しゃらく) 니혼슈동호회 2023-05-17 1068
50 [니혼슈 칼럼 30회] 소주韓잔 사케日잔 - 30 센킨 (仙禽、せんきん) 니혼슈동호회 2023-05-07 1190
49 [니혼슈 칼럼 29회] 소주韓잔 사케日잔 - 29 세키젠 (積積、せきぜん) 니혼슈동호회 2023-04-30 1465
48 [니혼슈 칼럼 28회] 소주韓잔 사케日잔 - 28 덴슈 (田酒、でんしゅ) 니혼슈동호회 2023-04-24 1212
47 [니혼슈 칼럼 27회] 소주韓잔 사케日잔 - 27 잇핀 (一品、いっぴん) 니혼슈동호회 2023-04-19 1329
46 [니혼슈 칼럼 26회] 소주韓잔 사케日잔 - 26 치요무스비 (千代むすび、ちよむすび) 니혼슈동호회 2023-04-13 1964
45 [니혼슈 칼럼 25회] 소주韓잔 사케日잔 - 25 요아케마에 (夜明け前、よあけまえ) 니혼슈동호회 2023-04-11 1079
44 [니혼슈 칼럼 24회] 소주韓잔 사케日잔 - 24 미이노 고토부키 (三井の寿、みいのことぶき) 니혼슈동호회 2023-03-28 1105
 1  2  3